2021. 2. 15. 23:50ㆍ카테고리 없음
패스트캠퍼스 6개월 치 업무를 하루 만에 끝내는 업무자동화 올인원 패키지 Online.
학습강의
인터프레터와 대화하기, 기초 연산, 변수 - 1
인터프레터와 대화하기, 기초 연산, 변수 - 2
순서가 중요한 데이터들
컴퓨터에 용어는 2진수라고 한다 그래서 파이썬이라는 통역기를 통해 전달 해줘야 한다고한다.
앞에 인트로를 제외한 겉핡기 업무자동화강의에서는 기본적인 용어 설명을 먼저 진행하는 것 같다. 겉핡기 업무자동화강의 3강 먼저 들어보고 중요한 포인트를 적어보려고 한다.
파이썬 인터프레터 쉽게 실행법
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
Git bash Here 클릭
인터프레터가 켜지면 컴퓨터와 2진수로 대화할 수 있다고해요
3+4와 12*7 같은 기초 연산을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.
변수 그리고
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X = 3 이런식으로 저장하게 되면 X에 변수 값은 3이 저장되며 마지막에 저장값이 최종 변수 값이 된다고 해요
인터프레터 실습
ipython
x = 3
X+4 = 7
곱셈뿐아니라 나누기 등도 가능합니다. 같은 값에 두개 이상에 변수를 만들수도 없고 맨 마지막에 입력한 값이 최종 변수가 된다고해요 (변수에는 소문자와 대문자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구분)
순서가 중요한 데이터
문자열 (String)
스트링은 끈이나 줄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 파이썬에서는 순서가 문단열 데이터에 중요한 도구라고 할 수 있어요
인터프레터 실습
Git bash
스트링 만드는 방법
"ffdjfhfjdhd"
아무런 글자를 입력하면 에러없이 정상 작동
" 큰 따옴표로 스트링을 만들든 ' 작은걸로 만들든 무상관 모두 ' 걸로 출력된다
a = "ggggggg"
b = "aasddddf"
a + b
'gggggggaasddddf'
결과값 스트링이 하나로 합쳐진다
인덱싱(중요)
a = 'ddfgdd'
a[0]
d
a[1]
d
a[2]
f
a값에 저장된 스트링에 해당 되는 부분이 나오는데 중요한건 컴퓨터는 0부터 숫자는 센다는 것이다.
마지막 글자를 가져 오고 싶을때 파이썬에 내장된 기능으로 -1 을 하면 맨 뒤에 숫자를 가져온다.
a[6]
d
a[-1]
슬라이싱
시작지점부터 시작해서 3이 나오는 해당지점에서 멈춰라 0번째부터 2번째 지점까지 표현된다. 공백을 제공 [:4] 시작지점을 0부터 들어가며 [4:] 반대로 뒷부분이 없을 경우에는 끝까지 가져온다.
a[0:3]
ddf
리스트(List)
대괄호안에 원소를 넣으면 리스트를 만들 수 있어 변수에 저장해주면 된다 슬라이싱이나 인덱싱을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
a = [1, 2, 3, 4, 5]
a[0]
1
a.pop()
맨 뒤에 있는 삭제하고 팅겨내라
결과값
a = [1, 2, 3, 4]
a.append()
새로운 원소를 추가해라
a.append(9)
a = [1, 2, 3, 4, 9]
a.sort()
오름차 순으로 정리해라
순서가 중요한 데이터는 리스트와 슬라이싱만 있으면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. 업무자동화강의에서 중요한 포인트라고해요 겉핡기 2개의 강의가 더 남았다 기초 용어가 아직 더 남은 것 같은데 관련 학과가 다닌 적이 없어 기초지식이 없는 나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강의인것 같다.